사회복지

사회복지 프로포절 5 : 작성과정 2단계 _대상자 선정

카프카즈의 꿈 2020. 6. 23. 17:39

 

 

출처 : pixabay

 

작성 과정 2단계 : 대상자 설정 및 선정

 

프로포절 작성 시 사업의 필요성 다음으로 대상자에 대해 기술합니다. 대상자는 곧 클라이언트를 말합니다. 클라이언트는 규정된 문제 사항을 해소하고 궁극적으로 변화를 도모해야 할 대상입니다. 이 부분에서는 대상자의 범위와 선정방법이 명확히 다뤄져야 합니다. 

 

 

 

대상자 선정은 ‘사업의 필요성’ 부분에서 규정된 문제·욕구를 가진 사람 중 프로그램이 실제 적용되어야 할 대상을 구체적으로 기술해야 합니다. 선정기준과 운선순위를 정하고 모집에 관한 세부적 계획도 명시해야 합니다. 대상자는 프로그램의 시작부터 종결까지 실제로 참여할 수 있어야 합니다.

 

프로포절을 작성할 때 적절한 통계자료 및 선행연구에 근거한 대상자 선정과정을 명시해야 합니다. 대상자 선정을 위한 인구집단의 구분은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범위를 좁혀가면서 맨 아래에 있는 클라이언트 집단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최종 대상자가 됩니다. 

 

 

 

 

일반집단 부분은 해당 문제·욕구를 가질 수 있고 프로그램 제공이 가능한 포괄적이고 일반적인 인구집단을 기술합니다. 예를 들면 ‘전주시에 덕진구에 거주하는 70대 이상 홀몸어르신’으로 들 수 있습니다.

 

위험집단 부분은 일반집단 대상자 중 개입하고자 하는 문제에 특히 취약하거나 문제의 정도가 심각하여 개입이 필요한 집단을 선정합니다. 선행연구에서 해당 문제를 겪고 있는 인구비율을 일반집단에 적용하여 위험집단의 규모를 추정합니다. 예를 들면 ‘전주시 덕진구에 거주하는 70대 홀몸어르신 중 우울감을 겪고 있는 어르신’을 들 수 있습니다.

 

표적집단 부분은 위험집단 대상자 중 우선적으로 개입이나 욕구 충족이 필요하여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하는 인구집단입니다. 대상자 선정 과정 중 표적집단의 규모 설정이 중요합니다. 이유는 참가자 모집 시 홍보의 대상이 되고 실제로 프로그램을 이용할 가능성이 높은 집단이기 때문입니다. 표적집단 선정을 위해 광범위한 대상보다 지역사회의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한 자료를 활용합니다. 예를 들면 ‘전주시 덕진구에 거주하는 70대 홀몸어르신 중 경제적 어려움으로 우울감을 겪는 어르신’을 들 수 있습니다.

 

표적집단의 결정 기준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프로그램 종류에 따라

② 사업수행기관의 미션과 비전, 자원동원 능력에 따라

③ 프로그램의 이론적 배경에 따라

④ 배분기관이 요구하는 기금의 목적에 따라

 

대상자 선정의 마지막 단계는 실제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클라이언트 집단 선정입니다. 클라이언트 집단 선정 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기관의 실행 가능성

   -기관의 인적·물적 자원 고려하여 클라이언트 집단 규모 설정

② 윤리성

    -클라이언트가 프로그램의 목적, 조건, 프로그램 내용, 참여 시 장·단점에 대해 충분한 안내가 이루어지고 클라이언트가 참여를 최종 결정

③ 대상자의 참여 능력

     -클라이언트가 프로그램을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인지·정서·행동·시간·접근성 등)이 있는지 고려

 

 

프로포절에서 대상자 선정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회복지 프로포절 1 : 배분사업 및 프로포절의 이해 ①

사회복지 프로포절 2 : 배분사업 및 프로포절의 이해 ②

사회복지 프로포절 3 : 배분사업 및 프로포절의 이해 ③

사회복지 프로포절 4 : 작성 과정 1단계 -사업의 필요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