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6. 17. 15:23ㆍ사회복지
1. 사회복지 프로포절이란?
사회복지 프로포절은 사회복지단체가 기금을 신청하기 위해 기금 배분기관에 제출하는 문서로 일종의 사업설명 계획서입니다. 프로포절에서 기술할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사업기관에 소개
②사업의 필요성
③클라이언트 상황
④사업의 목적 및 목표
⑤수행 인력
⑥사업의 주요 활동
⑦예산
⑧평가계획
프로포절은 일종의 각 사회복지기관 내에서 작성하는 사업계획서와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습니다. 공통점은 기관에서 어떤 사업을 수행할지에 대한 활동계획이고 사업의 필요성, 목적과 목표, 활동 내용, 예산, 평가계획을 포함하고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차이점은 다음 표와 같습니다.
이렇듯 프로포절은 기관의 모든 역량, 즉 문서작성, 사업수행, 마케팅능력이 녹아있습니다. 따라서 프로포절을 통해 기금을 회득한다는 의미는 외부로부터 사회복지기관의 종합적인 사업수행능력에 대해 인정을 받는다는 뜻입니다.
2. 프로포절 심사기준
그렇다면 기금배분기관은 어떠한 기준으로 프로포절을 심사하고 기금을 배분할까요? 각 배분기 관마다 차이가 있지만 위에서 언급한 프로포절에서 기술한 모든 내용이 평가대상입니다. 그리고 공정성 확보를 위해 외부 또는 학계의 전문가 그룹이 참여하기도 합니다.
사업수행기관에 대한 심사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신뢰성 : 이 단체는 믿을 수 있는 단체인가? 성공적으로 사업을 수행할 역량이 있는가?
② 적합성 : 배분사업 목적에 적합한가?
③ 목표의 타당성 : 사회문제 해결과 클라이언트를 위해 꼭 필요한 사업인가?
④ 실현가능성 : 현실적으로 성공 가능한가?
⑤ 투입 요소의 적절성 : 적절한 인적·물적 자원이 투입되는가?
⑥ 사업담당자의 능력 : 전문성, 경력, 사업수행 정도를 평가
사업에 대한 심사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사업수행능력 : 기관의 규모, 직원 수, 연혁, 주요사업에 대한 평가, 배분사업을 수행할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
② 자원동원능력 : 지역사회와 함께 사업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역량을 평가
③ 예산의 합리성 : 예산이 적절한 곳에 적정량이 투입되는지 평가
④ 효율성 : 투입 대비 정량적 실적이 우수한지 평가
⑤ 효과성 : 클라이언트의 변화정도를 정성적으로 측정 가능한지 평가
⑥ 파급력 : 지역사회 변화의 기대효과는 얼마나 되는지를 평가
2020/06/09 - [사회복지] - 사회복지 프로포절 작성 1 : 배분사업 및 프로포절의 이해 ①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 프로포절 4 : 작성과정 1단계_사업의 필요성 (0) | 2020.06.22 |
---|---|
사회복지 프로포절 3: 배분사업 및 프로포절의 의해 ③ (0) | 2020.06.18 |
나에게 필요한 복지서비스를 책 한권에 (0) | 2020.06.16 |
만 65세 이상 보건소 무료이용 혜택 (0) | 2020.06.12 |
2020년 노인복지제도_기초연금 (0) | 2020.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