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딩(4)
-
사회복지 마케팅_브랜딩②
사회복지 마케팅_브랜딩② 직전 포스트 '사회복지 마케팅_브랜딩①'에서는 브랜드의 중요성, 의미와 정의, 기능, 브랜드와 브랜딩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비영리조직 영역에서 브랜드 전략의 필요성, 이점, 수립, 개발 원칙, 개발단계에 대해 포스트 하겠습니다. 브랜드의 구성요소 비영리 조직의 브랜딩은 조직의 이름, 상표, 로고, 서비스를 대중에게 인지시키는 것입니다. 브랜드의 구성요소는 속성, 이익, 가치, 문화, 개성이 있습니다. 속성은 이미지 또는 글자로 표현되는 로고이지만 그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조직의 미션과 본질을 담고 있어, 조직이 무엇을 어떻게 하는지를 직관적으로 전달하는 매체입니다. 이익은 교환 이론에 근거합니다. 기부자는 기관에 대해 알아보고 기부하는 목적과 부합..
2020.07.20 -
사회복지마케팅_브랜딩①
브랜딩이란? 마케팅 전략을 실천하는 조직이 시장 세분화를 통해 표적시장에서 자사 제품(서비스)에 대한 포지셔닝의 과제로 자신들의 브랜드를 구축하게 됩니다. 브랜드는 목장에서 자신의 소를 구별하기 위해 찍었던 ‘낙인’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원래 의미는 상표, 품질, 소인, 낙인을 의미하여 타인의 것과 구별하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쉽게 생각하면 기업의 CI(Corporate Identity ; 기업 이미지 통합 전략)도 브랜드 마케팅 전략의 하나입니다. CI는 단순한 상징(이미지 또는 글자)을 넘어 기업의 경영이념, 미션, 비전을 내포합니다. 기업은 CI와 제품의 특성을 융합하여 고객이 브랜드로 기업의 제품과 서비스를 구매하는 상징이 되도록 마케팅 전략을 펼쳐야 합니다. 성공적인 브랜드는 고객에게 감동과 높은..
2020.07.17 -
[사회복지 마케팅3] 마케팅이 사회복지조직에 주는 이점
비영리조직이란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공익실현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조직을 말한다. 산업화 시대 이후 영리 조직이 물질문명을 이끈 것은 사실이지만 20세기 후반부부터 그 병폐가 드러나기 시작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영리조직이 태동하고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비영리조직으로서 사회복지조직은 사회구성원들의 다양한 욕구와 문제 해결을 위해 휴먼서비스를 제공한다. 사회복지조직은 자원을 발굴하여 욕구를 가진 대상자에게 연결함으로써 대상자와 사회의 변화를 유도해야 하는 사명이 있다. 사명을 달성하기 위해 지속 가능한 자원 발굴과 생태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따라서 사회복지 조직도 영리 조직 못지않게 자원의 발굴·획득·연계를 위한 마케팅 능력이 필수로 요구된다. 사회복지조직을 둘러싼 환경은 역동적으로 변화하면서..
2020.06.15 -
[사회복지 마케팅 1] 사회복지기관은 왜 마케팅을 해야 할까?
우리는 지금 4차산업혁명이 진행되고 있는 역사의 어느 지점에 위치해 있다. 영리 기업은 물질적 변화를 주도하고 있지만 그 한계 또한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비영리조직의 역할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비영리조직은 인간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인간의 변화를 최종 목적으로 하는 조직을 말한다. NGO, NPO, 교육 및 의료기관, 사회복지기관 등이 이 범주에 속한다. 그중 휴먼서비스를 담당하는 사회복지기관의 중요성은 앞으로도 더욱 증가할 것이다. 그러나 사회복지기관들은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지 못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이는 사회복지기관의 기관장이나 인력들이 자신에게 주어진 핵심 과업에만 집중할 뿐, 종종 대중과의 소통이 필요한 홍보마케팅 업무는 부차적인 일로 취급되고 있다. 그렇다..
2020.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