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6. 19. 09:00ㆍ마케팅
1. 사회복지 마케팅의 특징
마케팅은 사회복지기관의 목표 달성을 보장하지는 않지만 가능성은 높여 줄 수 있다. 특히 사회복지기관의 자원 제공자인 기부자 개발·유지에 상당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마케팅은 ‘교환’ 개념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양측 간 정당한 교환이 발생해야 한다. 따라서 사회복지 마케팅은 영리 기업의 마케팅보다 윤리문제가 더 강조되기도 한다.
마케팅과정에서 공정한 교환이 이루어지기 위한 3가지 조건이 있다.
① 당사자 간 자유의지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② 양측 모두 긍정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어야 한다.
③ 양측 모두 접근할 수 있는 정보의 수준이 대칭을 이루어야 한다.
사회복지조직 마케팅의 특성은 기부자와 수혜자 등 다수의 이해당사자가 관련되어 있다. 또한 하나의 목표보다 복수의 목표를 추구하며 물질적 재화보다 서비스 생산과 관련이 있다. 공적자원 비중이 높다 보니 대중의 눈높이와 정치적 압력에 취약하여 대중의 평가에 지배되기 쉽다. 마지막으로 영리 기업보다 비용효과성이 낮은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때도 있고 구체적이지 못한 목표, 정보 부족으로 인해 마케팅 활동에 어려움이 있다.
2. 사회복지 마케팅의 조건
사회복지조직에 마케팅이 필요한 이유는 자원은 한정되어 있고 클라이언트의 욕구는 다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마케팅과정에서 고객(후원자와 수혜자) 만족을 극대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조건이 갖추어져야 한다.
①사회복지조직은 사명에 대한 확고한 정의
②공정한 교환에 의한 쌍방 간 만족
③대중(public)에 대한 인식
④조직의 이미지(브랜드)
3. 사회복지조직의 전략적 마케팅 기획
마케팅 기획은 보통 3단계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 단계는 조직 내외의 환경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경우 보통 SWOT분석(다른 환경 분석 툴도 많이 있다)이 많이 사용된다.
두 번째 단계는 전략을 개발하고 마케팅 목적·목표를 구체화하며 마케팅믹스를 통해 마케팅을 전개한다.
세 번째 단계는 조직적으로 마케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효과적인 구조와 측정, 통제시스템이 갖추어져야 한다.
4. 사회복지 마케팅 주의할 점
비영리조직, 특히 사회복지조직에서 마케팅이 필요한지는 오랫동안 논란이 되어왔다. 그러나 사회복지 전 과정을 생각해 볼 때 마케팅은 필요하다. 즉, 획득한 자원을 그 목적에 부합하는 클라이언트에게 연계하고 그 변화된 모습을 후원자에게 피드백하는 모든 과정이 마케팅의 일부분이다. 따라서 교환이 발생하는 모든 과정에서 마케팅이 필요하다.
사회복지 마케팅에서 주의할 점은 사생활 침해와 비도덕성이다. 자칫 사회복지라는 공동체 전체의 이익을 위한 대의명분이 앞서다 보면 매체를 통해 개인의 사생활과 정보가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최근 클라이언트의 문제 상황과 장면을 여과 없이 노출하여 후원자의 감정에 호소하는 모금방식은 인권의 문제에서 깊게 고민해봐야 한다.
2020/06/15 - [마케팅] - [사회복지 마케팅3] 마케팅이 사회복지조직에 주는 이점
[사회복지 마케팅3] 마케팅이 사회복지조직에 주는 이점
비영리조직이란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공익실현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조직을 말한다. 산업화 시대 이후 영리 조직이 물질문명을 이끈 것은 사실이지만 20세기 후반부부터 그 병폐가 드러나기
moderntimespost.tistory.com
참고도서
'마케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 마케팅 기법② _ 표적시장 (0) | 2020.07.01 |
---|---|
사회복지 마케팅 기법 ① _ 시장세분화 (0) | 2020.06.29 |
[사회복지 마케팅3] 마케팅이 사회복지조직에 주는 이점 (0) | 2020.06.15 |
[사회복지 마케팅2] 사회복지와 마케팅_교환이론 (0) | 2020.06.10 |
[사회복지 마케팅 1] 사회복지기관은 왜 마케팅을 해야 할까? (0) | 2020.06.08 |